회사에서 입사 1년 차가 돼 무언가 의미가 있었으면 좋겠었다.
그러기엔 자격증만 한 게 없어서 늘 관심 있던 aws saa를 준비했다.
2025.03.29에 시험을 응시했고, 합격했다
AWS SAA?
홈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는 비용 및 성능 최적화 솔루션 설계에 중점을 둡니다. 이 자격증은 AWS 클라우드 또는 탄탄한 온프레미스 IT 경험을 갖춘 지원자에게 적합합니다. 이 시험에 깊이 있는 실무 코딩 경험은 필요하지 않지만 기본 프로그래밍 개념을 알고 있다면 도움이 됩니다.
대충 이런 문제가 나오는데, 상황과 문제가 주어지면 어떤 선택지가 Best 인지 고르면 된다.
어떻게 준비했나요?
1. 덤프 풀기
덤프를 pdf로 가지고 있기도 했지만 300문제까지는 해당 사이트에서 공부할 수 있다.
Free & Accurate Amazon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SAA-C03 Practice Questions | ExamTopics
Get ready to prepare like you’ve never prepared before As we often say at ExamTopics, work smarter not harder. You are about to see a study guide that took hours of hard collection work, expert preparation, and constant feedback. That’s why we know thi
www.examtopics.com
총 덤프 한 500문제 정도 풀었다.
처음에는 동료와 술렁술렁 1주일마다 30문제씩 푸는 스터디를 했었는데, 사실 그러면 효율이 안나기도 했고
실질적으로 바짝 한 건 1-2 달이었던 것 같다. 이틀에 한번 30문 제정도 풀고 오답노트를 정리했었다.
몰아서 바짝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
다음과 같이 오답 노트를 작성했다.
문제 번호 | 관련 서비스 | 내용 |
12 | Global Accelerator | tcp.udp 만 사용하는 global accelerator , 따라서 http인지 잘 고려하자 |
20 | EBS | 대량의 프로덕션 데이터를 테스트로복제해야함 데이터는 분리해야함. 최대한 빨리 복제해야함. EC2 인스턴스 스토어 : 휘발성 EBS Multi Attach 는 데이터 볼륨을 공유하는 것임 EBS 스냅샷 복원 후 초기화 : 오래걸림 EBS Fast snapshot 을 사용하면 스냅샷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 |
21 | CDN + DynamoDB | 대용량 처리 레이턴시 x = dynamodb |
22 | S3 | inteligent-tiering, 액세스 빈도 또는 불규칙한 사용 패턴을 모를 때 사용하기 좋음 s3 infrequent access 랑 onezone은 접근 빈도가 낮은 데이터를 위한 것 |
24 | Cost | Aws Cost Explorer는 비용과 사용량을 보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
29 | NLB + Global Accelerator | UDP = NLB 대기 시간이 짧은 리전으로 라우팅 - global accelerator 가장 가까운 글로벌 네트워크에 라우팅 CDN은 http / https 를 캐싱하는 용도 |
34 | AWS Config, Cloud Trail | Aws Config 는 구성 변경 알림을 제공함. Cloud trail 은 사용자의 활동 및 API 사용을 추적하여 모니터링 제공함. - 리소스 사용하는거 Config 는 구성 변경을 감지하고 변경이 발생하면 알 수 있음. - 리소스 생성 이런거 Cloud Watch 는 api 호출을 기록하는 지표가 아니라 앱의 지표나 로그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아이 |
35 | guard duty, inspector,shield | guard duty : 위험탐지 및 이상징후 , 로그 분석을 통한 이벤트 탐지, DDOS 방어 X inspector : EC2 컨테이너 이미지 보안 취얃점 검사 Shiled standard : DDOS 방어 기능 제공 (대규모x) Shield Advanced : 대규모 DDOS 기능 Firewall Manager : WAF, 보안 그룹,여러 계정에 걸쳐서 중앙관리한. FIrewall manager가 여러 waf, shield, 를 관리하는 매니저임. |
39 | rds | insert 연산이 10초이상 걸린다면, IOPS를 높여서 해결 가능 메모리 최적화 인스턴스는 캐싱 및 읽기 성능을 개선하는 것 뿐, 이건 스토리지 문제임 iops ssd 는 ebs 스토리지 타입임. 초당 입출력 작업 수를 설정 가능 |
41 | App Flow | SaaS 데이터를 직접 s3 로 전송함. 현재는 EC2를 굳이 안 지나가도 됨. 운영 단순화 |
47 | Ec2 On-demand | 리전과 가용 영역을 지정해아함 |
48 | EFS | 내구성이 지원되는 스토리지를 EC2가 필요로해서, EFS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한다. |
51 | SES + Lambda | rest api 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정리하고 (Event Bridge Schedule )을 통해 가져오고 람다로 데이터 처리 후 메일로 전송한다(SES) |
52 | EFS , S3 | auto scaling 이 필요하니깐, s3는 아니고 표준 파일 시스템도 아님 ebs 는 단일 az에서만 사용 가능 efs는 nfs 방식을 지원하고, 멀티 az, auto scaling 지원 단순 ec2 의 auto scaling 만으로 버틸만함 |
56 | api gateway | regional api gateway 는 route53을 통해 도메인 연결 가능, |
57 | AI | Rekognition : 얼굴 인식, 라벨링, 유명인 인식 Transcribe : 소리 to 문자 Polly : 문자 to 소리 Translate : 번역 Lex : 대화 봇 (시리같은) Connect: Lex 배포 도와줌 Comprehend : 문서 내 비정형 데이터 및 텍스트 의 자연어 처리 SageMaker : ML 학습부터 배포까지 도와주는 툴 Forecase : 높은 정확도의 예측 Kendra : ML 기반 검색 엔진 Personalize : 실시간 개인화 추천 |
62 | SSL | SSL 인증서가 1개 있으면 굳이 다시 발급 안해도됨 그냥 새로 갱신하도록 하기만 하면 됨 |
66 | S3 | 재생산하기 어렵고, 자주 액세스 x standard-infrequent 웬만해서는 이거일듯 one zone 은 재생산하기 어려운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을듯 4년이 지나면 삭제한다 |
73 | IP | 내부 ip 는 사내용으로 내부 ip 를 뜻하고 외부 ip 는 네트워크 통해서 들어온 ip 를 뜻함 bastion to ec2는 내부 ip를 허용하고, 외부 to bastion은 외부 ip 를 허용해서 쓰는거임 |
근데 덤프도 정도껏 푸는 걸 추천한다. 오히려 많이 풀수록 헷갈리고 깊은 개념들이 나오긴 하는데, 그다지 좋은 문제들은 아니어서.. 오히려 악순환이 반복되는 느낌이었다. 차라리 강의를 보고 2-300문제를 풀고, 반복하기가 더 좋은 선택지다.
2. 유데미 강의 보기
유데미에서 제일 유명한 강의였고, 단순 시험 패스를 위한 것 외에도 지식을 많이 습득할 수 있었다.
오히려 이 강의를 수강하고, 회사에서도 헷갈리는 개념들을 다잡을 수 있었다.
혹은 새로운 아키텍처를 고려해야 하는데, 아는 기술이 많아지니깐 오.. Kinesis를 쓰면 적당하겠네.. 와 같은 사고방식의 확장도 느낄 수 있었다.
내용이 너무 많아서 중요한 부분(Ec2, SQS, 보안 등등)만 강의를 보고, 나머지는 문제 틀렸는데 이해가 안 갈 때 찾아서 봤었던 것 같다.
어떤 내용이 중요할지 안 할지는, 다른 사람들 블로그에서 정리된 글들을 봐도 좋았다.
시험 후기
바우처를 받아서 50퍼센트 할인받아서 10만 원 정도에 시험을 응시했다.(꼭 적용하세요)
오전 9시 시작이었는데 8시 45분쯤 가니깐, 그냥 일찍 시작했다.
뭔가 번역이 애매한 것 같아서 나는 평소 시험 준비도 영어로 했고, 한국어 신청은 했는데 영어로 보기를 볼 수 있어서 대부분 영어로 봤다.
난이도는 체감상 덤프문제가 훨씬 어려웠다.
덤프문제는 뭔가 꼬아서 낸다고 하면, 오히려 실제 시험은 명확한 것 같았다.
예를 들어 덤프에서는 ALB 가 TCP를 이용하기에 선택해야 한다.라고 ALB에서는 TCP가 안되는데.. 를 알아야로 한번 더 함정을 파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ALB를 사용해야 한다 정도로만 끝나기 때문이다.
덤프를 많이 풀다 보면, 오히려 더 많이 틀리고 헷갈렸는데 그냥 어느 정도 공부를 하고 시험을 보는 게 더 추천한다.
오전 9시 시험을 봤고, 저녁 8시쯤 결과가 나왔다.
합격..!
사실 그 전날까지도 aws에서 모의시험(?)으로 제공해 주는 걸 통과를 못해서 불안했는데,
오히려 실제 시험이 더 쉬웠다.
백엔드 개발자고,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면 꼭 시험 준비를 해보길 추천한다.
결과에 상관없이, 공부를 하면서 배우는 게 너무 많았고 실제 실무에서도 적용할 기회가 많았다.
예를 들어 팬아웃 패턴을 강의를 보고 학습했고, 쿠폰 발급을 안정적으로 했었다.
2024.12.30 - [회사에서 한 일] - 팬아웃 아키텍처를 활용한 320만 개 쿠폰 안정적으로 배포하기
+ AWS KRUG 자격증 소모임 오픈챗에서 얻는 정보도 도움이 많이 됐다(바우처, 시험 정보 등등)